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처리기사8

코딩문제 오답정리 후치 연산자 01) #include main() { int a = 12, b = 8, c = 2, d = 3; a /= b++ - c * d; printf("%d", a); } 6 a = a / (b++ - c * d) = 12 / (8 - (2 * 3)) -> /= ++ * 있으면 ++ -> * -> /= 순서이다 = 12 / (8 - 6) = 12 / 2 = 6 cf) 연산자 우선순위 1. 단항 연산자 ++ -- 2. 산술 + - 3. 시프트 4. 관계 5. 비트 6. 논리 7. 조건 8. 대입 += -= 9. 순서 02) public class Proble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j, k, l, result; j = 10; k = 20l.. 2022. 7. 15.
fan in, fan out 2022. 7. 11.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 방식 대칭키 암호화는 암호화.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같습니다(대칭) 그래서 키가 매우 중요합니다 같은 키로만 암호 해제 가능하니까요 비대칭키 암호화는 암호화,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릅니다 크게 2가지방법이 있는데요 1. 공개키로 암호화 하는 방법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는 키 입니다 암호화된 공개키는 개인키로만 복호화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는 정보자체를 암호화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개인키로 암호화 하는 방법 개인키는 개인만 갖고 있는 키 입니다 개인키는 그 개인키에 해당하는 공개키로 복호화 가능한데, 공개키는 누구나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정보의 내용물보단 정보를 보낸 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에 더 중점이 둡니다 https://universitytomorro.. 2022. 7. 5.
정규화 https://mr-dan.tistory.com/10 정규화 (제1 정규화 ~ 제3 정규화) DB를 공부하다 보면 가장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이 정규화 였습니다. - 도메인 원자값 (1NF) - 부분적 함수 종속 제거 (2NF) -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3NF) -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 (BCNF mr-dan.tistory.com 2022. 7. 4.
프로토콜 프로토콜 의미 :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기능 : 단편화와 재결합, 캡슐화,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동기화, 순서 제어, 주소 지정, 다중화, 경로 제어, 전송 서비스 기본 요소 :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시간(timing) TCP/IP(Transmission Conto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의미 :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프로토콜 내용 TCP 전송 계층 연결형 서비스 IP 네트워크 계층 비연결형 서비스 구조 OSI TCP/IP 기능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액세스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 Ethernet.. 2022. 3. 29.
디자인 패턴 https://intrepidgeeks.com/tutorial/202-information-processing-engineer-gof-design-mode [2022 정보처리기사] GoF(Gangs of Four) 디자인 패턴 데이터베이스 기본_DDL 1. SQL문법의 개념 SELECT, INSERT, UPDATE, DELETE문이 있음 도메인 :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원자값들의 집합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제약조건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intrepidgeeks.com ◇ 생성 패턴 ⦁ Builder : 복잡한 인스턴스를 조립해 만드는 구조, 복합 객체 생성 시 방법 분리, 서로 다른 표현 결과 만들 수 있음 ⦁ Prototype : 처음부터 일반적인 원형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복사한.. 2022. 3. 28.
[SQL] 문제풀이 (p.96~) 2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직원( 사번 char(15) primary key, -- 되나? 이름 char(4) not null, 전화번호 char(20) unique,... -- ? foreign key (부서번호) references 부서 (부서번호), check (기본급 >= 1000000); ▪ 조건 지정할 때 check(조건) ▪ foreign key(부서번호) references 부서(부서번호) 테이블의 부서번호는 테이블에 있는 부서번호를 참조한다 4 select distinct 이름 from 자격증 where 경력 >=3; 이름이 중복되지 않는 값 찾아라 = distinct 이름 5 select 이름, 재직년도, 기본급 from 사원 where 이름 not in(select 이름 .. 2022. 3. 16.
[SQL] value in, in 의 차이 value는 필드를 적을 수 없거나, 생략될 수 있을 때 사용됩니다. in은 단순히 필드에 들어가는 값을 나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create domain에서 제약조건을 걸때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value in(값1, 값2...값n)) 으로 사용합니다. domain에는 필드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죠. create table에서 제약조건을 걸때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필드명 in(값1, 값2...값n)) 으로 사용합니다. 여러 필드명이 존재하는 테이블에서 해당 필드를 특정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 밖에 value나 필드명 없이 in이 사용되는 곳은 where문 정도가 있겠네요. (하위 질의나, or조건의 나열) 2022. 3. 2.